분류 전체보기22 “코카콜라 vs 현지 브랜드” – 베트남 탄산시장 전쟁의 경제학 글로벌 기업과 지역 브랜드의 경쟁에서 벌어지는 현지화 전략, 오늘은 "코카콜라 vs 현지 브랜드" 베트남 탄산시장 전쟁의 경제학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글로벌 거인의 등장: 코카콜라가 베트남에 진출하자 벌어진 일 1994년, 미국의 대표 브랜드 코카콜라가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이때는 베트남이 도이머이(Đổi Mới, 경제 개혁 정책) 이후 본격적으로 외국 자본을 유치하던 시기였다.전 세계 어디서나 성공했던 코카콜라의 진입은 당시 베트남에서 글로벌화의 상징처럼 여겨졌지만,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았다.처음엔 코카콜라와 펩시가 베트남 시장을 양분할 것처럼 보였다.광고비를 쏟아붓고,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기용하며,대도시의 슈퍼마켓과 편의점 점유율을 빠르게 장악해 나갔다.하지만 현지 브랜드 '쯩하이(Tru.. 2025. 4. 11. “은행 없는 나라” – 핀란드의 ‘디지털 머니 사회’는 어떻게 운영될까? 현금이 사라진 사회의 실제 사례와 경제 변화, 오늘은 "은행 없는 나라" 핀란드의 '디지털 머니 사회'는 어떻게 운영될까? 현금 사용률 5%? ‘사라진 지갑’의 나라 핀란드핀란드는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다.핀란드 국민의 현금 사용률은 전체 거래의 5% 미만,심지어 수도 헬싱키에서는 지갑 없이 하루를 살아도 전혀 불편하지 않을 정도다.핀란드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소액 결제조차도 전자화되었다는 점이다.1유로짜리 커피를 사거나, 노점에서 베리를 사더라도거의 모든 곳에서 카드 또는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다.특히 핀란드는 핀코드 입력 없는 비접촉 결제가 매우 일찍부터 보편화되었고,국민 대부분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반 결제 시스템인 ‘모바일페이(MobilePay.. 2025. 4. 11. “고양이가 CEO?” – 일본 이나카 경제 살리기 프로젝트 특이한 마케팅이 지역경제를 살리는 놀라운 방식, 오늘은 "고양이가 CEO?" 일본 이나카 경제 살리기 프로젝트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CEO는 고양이입니다 – 타마 역장의 탄생과 전설 2007년, 일본 와카야마현 기시역에는 아주 특별한 "역장"이 등장했다.그 이름은 타마(Tama). 고양이였다.사람들은 처음엔 장난인 줄 알았다.하지만 기시역과 와카야마 전철은 진심이었다.고양이를 실제로 '정식 역장'으로 임명하고, 전용 사무실(=고양이 집)을 마련해줬으며,심지어 역장 모자와 명함까지 만들어주는 철저한 '공식화'를 진행했다.이 전무후무한 마케팅은 순식간에 화제를 모았다.고양이 타마의 등장 이후, 평소 썰렁하던 작은 시골역에는일본 전국은 물론, 해외에서까지 관광객이 몰려들기 시작했다.한 해 수십만 명이 .. 2025. 4. 10. “나는 왜 스위스에 투자할까?” – 안전자산으로서의 국가 브랜드 파워 ‘국가 이미지’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 사례 분석, 오늘은 "나는 왜 스위스에 투자할까?" 안전자산으로서의 국가 브랜드 파워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국가’도 브랜드다 – 스위스가 갖는 이미지의 힘 우리가 브랜드를 소비할 때, 그 이름이 주는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예컨대 "애플"은 혁신과 감성을, "롤렉스"는 신뢰와 명품 가치를 의미하듯,국가도 브랜드처럼 자체적인 상징성과 인지도를 통해 ‘신뢰 자산’을 형성한다.그중에서도 스위스(Switzerland)는 독보적인 국가 브랜드를 가진 나라다.‘정치적 중립성’, ‘금융의 안정성’, ‘높은 교육 수준’, ‘청렴하고 예측 가능한 제도’,그리고 ‘고급스러움과 품질’로 대표되는 이미지는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리스크 없는 안전지대’로 인식된다.실제로.. 2025. 4. 10. “게임 머니가 진짜 돈이 된다?” – MMORPG 경제와 현실 화폐의 경계 가상경제가 실물경제를 침범한 사례들, 오늘은 게임 머니가 진짜 돈이 된다? MMORPG 경제와 현실 화폐의 경계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게임 속 경제 시스템’MMORPG는 단순한 오락을 넘어서 하나의 경제 생태계를 갖춘 세계로 진화했다.초기에는 단순히 게임 내 장비를 구매하거나, 퀘스트에 사용되는 수준이었던 게임 화폐가지금은 노동, 거래, 투기, 생산과 소비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발전했다.예를 들어, 나 같은 게임에서는수백만 명의 유저들이 참여해 아이템을 제작하고, 자원을 수집하며, 경매장에서 거래를 한다.이 과정은 현실의 시장과 매우 흡사하다.희귀한 자원은 가격이 오르고, 수요가 많으면 공급을 맞추기 위해 플레이어가 더 많이 노동한다.심지어 환율처럼 .. 2025. 4. 10. “돈의 가치가 하루 만에 1/10로?” –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 생존기 역사상 최악의 화폐 가치 하락과 그 안에서 살아남은 사람들, 오늘은 "돈의 가치가 하루 만에 1/10로?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 생존기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빵 한 덩어리에 수십억 달러? – 짐바브웨 경제의 붕괴 2000년대 초, 아프리카 남부에 위치한 짐바브웨는세상에서 가장 ‘쓸모없는 돈’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그 당시, 짐바브웨 정부는 경제 침체와 실업률 상승,토지 개혁 실패 등으로 인해 세수 부족을 겪고 있었고,그 해결책으로 선택한 것은 무제한적인 지폐 발행이었다.그 결과는 참혹했다.2008년, 짐바브웨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8억 9천만 퍼센트에 달했다.하루가 지나면 물가가 10배,일주일이면 1,000배가 되는 현실판 악몽이 펼쳐진 것이다.사람들은 아침에 빵을 살 수 있었던 돈이오후에는 화장.. 2025. 4. 9. 이전 1 2 3 4 다음